충무공의 생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이민웅)
2016.10.11 15:32
이내원
충무공의 생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이민웅(해군사관학교 교수)
이순신의 가계와 성장 배경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은 1545년, 인종(仁宗) 원년 3월 8일(음력)에 서울의 건천동(乾川洞)에서 덕수(德水) 이씨(李氏), 정(貞)의 네 아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조선중기의 이름난 문인인 허균(許筠)이 남긴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라는 책에 의하면, 건천동은 지금의 인현동 일대라고 하는데, 그리 크지 않은 동네지만 조선전기부터 나라를 좌지우지 했던 훌륭한 인물이 많이 난 곳이라 한다. 세종대에 학문과 부(富)로 제일이었던 정인지(鄭麟趾), 세조의 부국강병(富國强兵) 정책에 큰 역할을 했던 양성지(梁誠之) 등이 그 동네 출신이고, 허균 당대의 인물로는 서애 유성룡(柳成龍)과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원균(元均)과 자신의 형인 허봉(許篈)을 꼽고 있다.
흥미로운 일이지만, 서애 유성룡은 어릴 적부터 이순신과 원균에 대해 잘 알고 함께 성장했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같은 동네에서 함께 성장한 또래였기 때문이다. 유성룡은 이순신의 중형(仲兄) 요신(堯臣)과 동갑 친구였고, 원균은 유성룡보다 두 살 위고 이순신 보다는 다섯 살이 많았다. 원균과 이순신이 유년 시절에 함께 어울렸을 가능성은 적지만, 각기 집안 내력이나 형편 등에 대해서는 서로 알고 지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순신의 직계 조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순신의 중시조(中始祖)는 이돈수(李敦守)로 고려말기에 중랑장(中郎將)을 지냈다. 중랑장은 고려시대 무반(武班) 정5품으로 장군(將軍)을 보좌하는 부지휘관이었는데, 오늘날 계급으로 비교해보면 대대장이나 연대장급에 해당한다. 이돈수 로부터 이순신은 12대째이고, 이돈수 아래로 3대까지는 무장 벼슬을 역임하거나 다른 무장들과 혼인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아 고려말기까지는 실제 무반 가문이었다.
그러던 중 4대 윤번(允蕃)이 처음 문과(文科)에 합격하면서, 조선(朝鮮)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런데 정작 윤번은 도사(都事-정5품, 오늘날의 부군수) 벼슬에 오른 것이 전부였다. 이것은 이때까지 문반으로서의 기반이 없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즉, 이순신 가문은 고려말기까지 무반 가문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는 무렵에 문반 가문으로 전환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집안의 기반을 다진 이는 7대조 변(邊)이었다. 변은 30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한어(漢語)를 수학하여, 세종대를 대표하는 대명(對明) 외교관리가 되었다. 세종대에 이미 참판(參判; 오늘날의 차관급)까지 올랐던 그는 계유정난(癸酉靖難) 때에 수양대군 편에 가담한 이후 판서(判書; 장관급)로 승진하였고, 세조의 총애를 입었다. 술을 하지 않고 건강해서 70대 이후에도 특명으로 치사(致仕)하는 대신 어전통사(御前通事)를 맡았고, 역관을 배출하는 승문원 도제조를 오래 역임하였다. 한 마디로 변 할아버지는 이순신 집안의 사회경제적 기틀을 다지는 역할을 했다.
이내원의 이순신 강연요지
| 이내원 | 2017.03.18 | 771 | |
10 | 이순신 임진왜란 용어 해설 사전
| 이내원 | 2017.05.24 | 630 |
9 | 이순신의 난중일기 (황원갑)
| 이내원 | 2016.10.11 | 973 |
8 | 난중일기 해설 (노승석)
| 이내원 | 2016.10.11 | 960 |
7 | 한산도대첩의 경과와 역사적 의미 (제장명)
| 이내원 | 2016.10.11 | 982 |
6 | 이순신 전승무패의 승리의 병법 (임원빈)
| 이내원 | 2016.10.11 | 1080 |
5 | 이순신의 인성과 리더십 특성 (노승석)
| 이내원 | 2016.10.11 | 984 |
4 | 충무공의 일곱 가지 성공 리더십 (이민웅)
| 이내원 | 2016.10.11 | 847 |
3 | 이순신 승리의 리더십 (임원빈)
| 이내원 | 2016.10.11 | 1007 |
2 | 백성을 진정으로 사랑한 영웅, 이순신 (제장명)
| 이내원 | 2016.10.11 | 993 |
충무공의 생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이민웅)
| 이내원 | 2016.10.11 | 9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