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기록 문헌 ▲1576년 무과 시험에 함께 합격한 동료에게 보낸 이순신의 개인 편지▲1590년 음력 2월 5일 정읍현감으로 있던 이순신이 병마절도사 신할에게 보낸 편지▲이순신이 1593년 7월 16일 외가쪽 친척인 지평 현덕승에게 보낸 개인 편지로 한산도에 주둔한 사연을 설명하고 있다.▲이 연습장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임진년의 일기 맨 뒷장에 있다. 이순신의 싸인인 수결은 한결같은 마음을 뜻하는 < 一心 >을 휘갈겨 쓴 것으로 전해진다.▲난중일기. 이순신의 친필 진중 일기▲임진장초▲난중일기.▲무과급제교지▲이충무공 전서 – 이순신 장군 전사 197년 되던 정조 19년(1795년) 왕명으로 만들어졌다.▲이충무공 전서 – 이순신 장군 전사 197년 되던 정조 19년(1795년) 왕명으로 만들어졌다.▲ ▲ 조선사람의 목과 산 사람의 코를 베어다 바치고 받은 영수증 (일본 甘木市 秋月鄕土館 소장)<출처: 조중화 – 다시 쓰는 임진왜란사>▲ 조선사람의 목과 산 사람의 코를 베어다 바치고 받은 영수증 (일본 甘木市 秋月鄕土館 소장)<출처: 조중화 – 다시 쓰는 임진왜란사>▲ 풍신수길의 코 감사장. 토요토미는 조선사람의 코를 베어 1인당 한 되씩 소금에 절여 바치게 명령하고 감사장을 써 주었다.